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색작업 20232024년 재개 가능성 없어진 말레이시아항공 MH370편
    카테고리 없음 2022. 4. 14. 04:04

     

    2010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공항에서 촬영된 실종기(9M-MRO), Wikimedia Commons 8년 전 2014년 3월 8일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MH370/MAS370, 등록번호: 9M-MRO)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을 떠나 중국 베이징 서우두 공항으로 비행 중 누군가가 트랜스폰다.

    탑승자 239명은 모두 행방불명이 되었고, 단 한 명의 시신도 수습하지 못했습니다.

    영국의 위성통신회사 인마샛(Inmarsat)사와 호주의 조사당국은 사고기가 항로 이탈 후에도 10여 차례 위성통신을 한 사실을 확인하고, 이 통신 내역의 지연시간과 해당 통신을 담당한 인공위성의 당시 위치를 토대로 대략적인 항적도를 그렸습니다. 그 결과 MH370편은 트랜스폰더가 사라진 후 3차례 급선회를 하여 항로를 이탈한 뒤 인도양 망대해로 선회해 인도양 남동부 해상에 추락한 것으로 결론이 났습니다. (아래 사진)

    말레이시아 군용 레이더(Pri marytarget)에 포착된 MH370편의 항로 이탈 당시 항적

    통신 지연시간을 통해 재구성된 MH370편의 최종 항적도 MH370편이 인도양상에 추락한 것으로 확인되자 사고기 소유 등록국 말레이시아와 탑승객 소속국인 호주 및 중국은 예산을 모아 '3국 합동 수색조'를 구성했습니다. 수색 목적은 사고기의 동체와 블랙박스를 발견하고 인양해 사고 조사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MH370편의 대략적인 추락 구역은 다음과 같이 실종기가 아침 8시 19분경 연료가 고갈된 후 마지막으로 통신한 시점의 지연 시간을 바탕으로 거대한 원을 그린 후 개략적인 연료 소모율 분석을 통해 파악되었습니다.(남위 40도~35도) 3국 합동수색팀은 2014년 9월부터 2017년 1월까지 약 2년 4개월 동안 ᅳᆯ를 투입해 120,000㎢의 인도양을 수색했지만, 주체의 잔해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이와 같이 1차 수색은 실패했습니다.

    (MH370편의 날개 잔해, 엔진 외피 잔해, 동체 파편 등은 2015년 7월부터 수년간 아프리카 연안에서 발견되었습니다.)

    2차 수색은 오션인 피니티사(Ocean Infinity, 미국의 심해 탐사업체)가 '기체를 찾지 못하면 ᅩ も도 지급받지 못한다'는 파격적인 조건을 말레이시아 정부에 내걸면서 이루어졌으며 2018년 1월부터 6월까지 남위 36도~남위 26도에 위치한 125,000㎢ 구역을 추가 수색했지만 역시 주도체의 잔해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아래는 1차/2차 수색 구역의 개요도입니다.

    왼쪽 하단 흑색 구역이 1차 수색 구역, 그 위 적색 구역이 2차 수색 구역입니다.(여담에서 오션인피니티사는 10여대의 특수 잠수정을 동시에 투입해 수색을 진행함으로써 1차 수색보다 5배 이상 빠른 수색속도를 보였습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8년 7월 30일 '원인 불명'이라는 최종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조사를 종결했습니다. MH370편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정보가 없는 한 더 이상 수색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못 박았습니다.

    그렇게 MH370편의 사건은 4년이 지나면서 점점 잊혀져 가는 듯했습니다.

     

    그런데 2022년 3월 6일부터 여러 외신 보도에 따르면 2018년에 2차 수색을 담당했던 오션 인피니티 최고경영자(CEO)가 MH370편의 3차 수색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보도내용에 따르면, 오션인피니티사는 2018년 2차 수색이 끝난 후에도 매일 MH370편의 수색자료를 검토하고 있으며, 2020년 3차 수색 제안을 하려고 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실패했다며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또한 2020년부터 현재까지 3차 수색 계획과 예산을 검토 중이며, 최첨단 무인 수색선 23대를 도입하여 해저 신호(충격파) 분석과 잔해 파편의 해류 역산 연구를 2021년 외부 기관에 의뢰하여 '신뢰성 있는' 추락 지점을 파악했다고도 밝혔습니다.

    오션 인피니티에서 제안한 3차 수색구역(19,200㎢)입니다. 1차~2차 수색 구역에서 폭을 더욱 확대시켰습니다. 출처 : airline ratings 오션 인피니티는 말레이시아, 호주 정부와 언제든지 재수색에 관한 논의를 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이번에도 수색에 실패하면 돈을 받지 않겠다('NOFIND, NOFEE')는 조건으로 계약을 체결하겠다고 밝혔습니다.(계약체결시 빠르면 2023년초부터 수색재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말레이시아 교통장관은 사고 8주기 발표에서 기체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정보가 없으면 수색 재개를 검토할 수 없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오션 인피니티 CEO는 2차 수색 후 한 번 바뀌었는데 새 CEO도 MH370편 발견에 대한 집념이 정말 대단하네요.

    사고 발생 후 10년 가까이 되기 때문에 만일 동체의 잔해가 발견되어도 블랙박스가 완전하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블랙박스는 6000미터 해저에서 최대 30일만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인도양의 수심은 4,000~6,000m이며, 10년 이상 바닷물이 블랙박스 내부로 침투하여 메모리가 부식되어 자료추출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다만 1980년 발생한 이태비아 870편 사고처럼 사고 11년 후 뒤늦게 3500m 해저에서 FDR를 끌어올려 성공적으로 자료를 추출한 사례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체를 발견하는 것만으로도 사고 조사에 큰 진전이 있을 것입니다.3차 수색 계약에 진전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관련 언론보도 http://www.freemalaysiatoday.com/category/nation/2022/03/06/credible-info-needed-to-continue-mh370-search-says-wee/https:// www.straitstimes.com/asia/se-asia/st-unsolved-mysteries-of-south-east-asia-the-plane-that-vanished-into-thin-airhttps:// www.airlineratings.com/news/ocean-infinity-commits-new-search-mh370-2023-2://  www.airlineratings.com/news/ocean-infinity-commits-new-search-mh370-2023-2024  / https://worldofaviation.com/2022/03/us-marine-company-embarks-on-second-mh370-search/https://www.thedailybeast.com/big-gamble-to-find-mh370-begins-us-team-deploys-robot-swarm-to-find-jet 

    오션 인피니티사 소개 http://oceaninfinity.com/projects/mh370/ 

     

    MH370 - Ocean Infinity

    In January 2018, under contract to the Malaysian Government, Ocean Infinity undertook a 90-day survey campaign to find the wreckage.

    oceaninfinity.com

    ATSB(호주 교통안전위원회) MH370편 수색 관련 자료 http://www.atsb.gov.au/mh370-pages/updates/reports/

    댓글

Designed by Tistory.